카테고리 없음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 금메달 세계신기록 완성될까? — 준비 상황·라이벌·규칙·직관 팁 총정리

日本 トクトク ニュース 2025. 8. 25. 19:28
반응형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를 앞두고 우상혁의 준비 상황과 금메달 전망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우상혁은 7월 유럽 전지훈련과 국제대회(모나코 DL 우승) 후 귀국, 8월에는 종아리 불편으로 유럽 일정을 조기 종료하고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집중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개인 최고기록은 실내 2.36m(한국기록)·실외 2.35m, 2025 세계실내 챔피언으로 챔피언십 내성을 재증명한 바 있습니다. 결승은 9월 16일 20:35(JST), 라이벌로는 바심(2.43), 탐베리(2.39), **커·매큐언·해리슨(각 2.36)**이 꼽힙니다. 높이뛰기는 3회 시기·카운트백·점프오프가 승부를 가르는 종목—D-존 저층이 직관 명당입니다. 우상혁의 금빛 비상, 마지막 퍼즐은 컨디션 관리와 결승 당일의 컨디션입니다.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한눈에 보는 핵심

우상혁 선수
우상혁 선수

  • 일정(남자 높이뛰기): 예선 9월 14일(일) 18:40, 결승 9월 16일(화) 20:35(JST) @ 도쿄 국립경기장. 
  • 우상혁 근황: 7월 유럽 전지훈련·국제대회 후 귀국 → 8월 종아리 불편으로 유럽 투어 조기 중단하고 세계선수권 대비 체제 전환. (모나코 DL 우승 후 인터뷰/귀국 보도) 
  • 개인 최고기록: 실내 2.36m(한국기록), 실외 2.35m. 세계실내선수권 2회 우승(2022·2025). (
  • 엔트리 기준: 남자 높이뛰기 2.33m

1) 우상혁, 지금 어디서 어떻게 준비하나

대회 홈페이지
대회 홈페이지

7월 중순까지 유럽 전지훈련과 국제대회(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우승 포함)로 페이스를 끌어올린 뒤, 7월 13일 귀국해 컨디션 점검에 들어갔다. 8월 들어 종아리 불편으로 독일 하일브론 대회는 선수 소개만 받고 기권, 유럽 일정을 접고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집중 훈련 모드로 전환했다. 국내 언론은 우상혁이 남은 기간 회복+미세 조정에 방점을 찍었다고 전했다. 

또한 3월 난징 세계실내선수권에서 2.31m로 금메달을 거머쥐며 ‘챔피언십 내성’을 재증명했다. 라스트 2~3 시기 운영, 초중반 높이 패스 전략 등 대회형 전술이 다시 살아났다는 평가다. 


2) 프로필 & 개인 최고기록(기록 출처 명시)

우상혁 선수
우상혁 선수

  • 우상혁(Woo Sang-hyeok)
    • 실내 PB: 2.36m(후스토페체, 2022·한국기록) 
    • 실외 PB: 2.35m(도쿄 2021·유진 2022) 
    • 주요 타이틀: 세계실내선수권 2회 우승(2022·2025) 

3) 도쿄25 남자 높이뛰기—가장 강한 라이벌과 PB

남자 높이뛰기
남자 높이뛰기

  • 무타즈 에사 바심(Mutaz Essa Barshim, QAT)PB 2.43m(아시아기록), 세계 역사상 2위 높이. 큰 무대 경험·점프오프 대응능력 최상. 
  • 지안마르코 탐베리(Gianmarco Tamberi, ITA)PB 2.39m(이탈리아 NR), 2023 세계 챔피언·2020 올림픽 공동 금. 챔피언십 ‘승부감’이 강점. 
  • 해미시 커(Hamish Kerr, NZL)PB 2.36m(오세아니아 기록 타이), 파리 2024 올림픽 금메달(점프오프 승). 
  • 셸비 매큐언(Shelby McEwen, USA)PB 2.36m, 파리 2024 올림픽 은메달
  • 주본 해리슨(JuVaughn Harrison, USA)PB 2.36m, 부다페스트 2023 세계선수권 은메달

참고: 2025시즌 초중반 다이아몬드리그 고전·부상 이슈가 있었던 선수들도 대회 주간 컨디션 리셋 시 급부상 가능. 바심·탐베리는 큰 무대 적응력이 특히 높다. 


4) 금메달 전망(기자 시각)

우상혁 선수
우상혁 선수

  • 우상혁 금메달 확률(주관 추정): 35~45%
    • 플러스 요인: ① 2025 세계실내 금메달로 증명된 챔피언십 폼 ② 시즌 중반 DL 우승으로 확인된 컨디션 피크 경험 ③ 2.33m 엔트리 기준 통과 후 여유 있는 조정 기간
    • 리스크: ① 8월 종아리 불편 후 컨디션 미지수 ② 결승이 점프오프(동률) 또는 카운트백 싸움이 되면 미세한 실패 관리가 승패를 좌우. 
  • 메달 후보 구도: 우상혁 vs 커·매큐언·바심·탐베리(해리슨 변수)—결승이 2.33~2.36m 전개일 때 막판 1~2회 시기 운용(패스 전략)이 핵심.

5) 언제 뛰나—세션·시간(현지)

  • 예선: 9월 14일(일) 18:40
  • 결승: 9월 16일(화) 20:35
    공식 타임테이블 기준. (변동 시 조직위 공지 우선) 

6) 높이뛰기, 이렇게 진행된다(룰·전개)

  • 형식: 수직 점프. 바 높이는 단계적으로 상승, 각 높이 3회 시기. 한 높이 3회 연속 실패 시 실격. 점프 발은 한 발이어야 함. 
  • 카운트백: 동일 최고높이를 넘었을 때 해당 높이의 실패가 적은 선수가 앞선다 → 그래도 동률이면 대회 전체 실패 수 비교. 1위 동률이면 원칙적으로 점프오프(상·하향 조정). 
  • 예선→결승: 예선에서 정해진 높이(또는 상위 N명) 통과 시 결승 진출. (세부 수치·컷은 대회 공지 참조) 

7) 직관 꿀팁—어디서 보면 가장 잘 보일까

  • 최적의 직관 위치는 아래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2025도쿄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심층 분석 : 세계신기록, 금메달 가능성은? - a

스마일 점퍼' 우상혁 선수가 2025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금메달을 향한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2025 시즌 국제대회 7연승이라는 압도적인 성적과 함께 세계 정상에 우뚝 선 그의 현재 컨디션

angantour.com

 


8) ‘데이터 카드’—주요 후보 PB 요약

  • 우상혁 2.36(i)/2.35 | 해미시 커 2.36 | 셸비 매큐언 2.36 | 주본 해리슨 2.36 | 지안마르코 탐베리 2.39 | 무타즈 바심 2.43

9) 마지막 체크리스트(팬을 위한 Q&A)

  • 엔트리 스탠다드: 2.33m(2024.7 발표 문서 기준). 
  • 우상혁 강점: 빠른 접근 속도에서의 안정적 바 접점·시기 운용 감각(패스/템포 조절)—실내 금메달과 DL 우승이 증명. 
  • 변수: 결승 당일의 체감 기온·바람, 바 처음 설정 높이, 점프오프 여부.

 

반응형